1. Facebooks Ads
특징 :
여러 기기에 광고 노출
추가로 모바일 또는 데스크톱 옵션을 선택하여 타겟이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 광고를 게재 가능.
간편한 광고 게재
여러 플랫폼과 기기에 걸쳐 손쉽게 광고 가능, 광고를 한 번만 만들고 자동 노출 위치를 선택하면 캠페인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가장 큰 위치에 광고가 게재됨. 크기나 형식을 조정할 필요가 없음.
안전하고 정확한 관리
도달을 확대하더라도 관리 기능을 통해 광고를 게재할 위치와 방법에 관한 기준 설정
개성 드러내기
비즈니스별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광고 가능(톤 설정)
타겟 파악하기
타겟마다 특화된 크리에이트 버전 만드는 것이 좋음
주제 결정하기
모든 광고에 일관성을 주는 컨셉이나 아이디어 또는 시각적 주제 가능
광고 형식 :
- 사진 게시 형태
- 동영상 게시 형태
- 스토리 형태
- 메신저 형태
- 슬라이드
- 컬렉션
- 앱 데모
2. 사례 공유
페이스북 Ads의 성공사례
- 클래스 101
온라인 취미 교육 플랫폼 클래스101은 브랜드 인지도 목표로 풀퍼널 캠페인으로 확장하여 한 차원 높이 도약한 전환 성과 달성
++ 구매 전환 2.6배 증대 / ROAS 4.3배 증가 / 장바구니 담기 전환 성과 4.5배 증대
++ 갖고 싶은 취미 뽑는 온라인 투표 진행으로 많은 사람들이 호응 이끌어냈으며 기존 캠페인과 퍼널 확장 캠페인 간의 A/B테스트 결과 퍼널 확장 그룹에서 구매/장바구니감기/결제 시작의 전환 성과가 대폭 상승했으며 비용 효율성도 향상됨
++타겟 세분화를 통한 크리에이티브 최적화로 웹앱을 경험한 맞춤 타겟과 경험한 적이 없는 신규타겟으로 분류하여 목표에 맞추었고 효과 증대
정리 : 초기 인지도 없었던 클래스 101이 다양한 프로모션과 해당 프로모션에 맞는 고객 타겟을 세분화 설정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 것과 현재 세대의 가치관과 잘 맞물렸다고 생각
- 당근마켓
중고 상품 거래를 위한 모바일 앱 플랫폼인 당근마켓은 앱 이벤트 최적화를 통해 앱을 설치한 후 새로운 멤버로 등록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찾음
++ 멤버당 등록비용 29% 절감 / 앱 설치 후 등록한 멤버 11% 증가
++ 당시 전국적 인기를 끌고 있던 당근마켓은 새로운 사용자를 찾기 어려웠던 당근마켓은 앱 최적화를 활용하여 등록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광고 타겟팅
++ 관심사 바탕으로 다이내믹 광고 활용하여 상품 이미지 포함된 카탈로그를 업로드했고, 등록 후에 다른 사용자와의 거래도 권장하는 메세지 전송
정리 : 과거 유투부나 티비 광고에서는 당근마켓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광고했지만, 페이스북에서는 고객의 관심사를 반영한 실제 필요한 물건을 직접 광고함으로써 앱 설치와 등록까지의 전환을 극대화 한 것으로 보임
페이스북 자체 게시글 성공사례
- 청하
음주를 즐기는 2-30대가 좋아할 만한 컨텐츠로 무언가를 증정하는 이벤트가 아님에도 자발적인 소비자의 참여를 일으키면서 소통하는 모습을 보임
- 내용
정리 : 일관적인 톤앤 매너와 술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술게임 또는 일화 등을 제시하면서 인싸 문화의 중심이 되어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임
페이스북 자체 게시글 실폐사례
- 제네시스
당시 SNS를 통한 이벤트로 제네시스 4행시로 소비자의 참여를 이끌었으나, 오히려 부정적 댓글이 호응을 얻었고, 뿐만 아니라 캡처본이 커뮤니티에 업로드 되면서 화제가 되었음
- 내용
정리 : 결국은 소비자와 소통이 주가 되는 페이스북 특성 상 다양한 상황에 대해 예측할 필요가 있으며, 게시한 이벤트 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까지 예측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