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 페이지 구독자들을 '주민'이라고 칭하며 서로 친구처럼 노는 문화
- 페이스북 담당자의 업무와 분리되는 것이 아닌 운영자 그 자체가 친구처럼 받아들여 회사와 가까워 지는 듯한 친근함
- 20대-30대의 주류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류 문화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유행하는 컨텐츠( ex.밸런스 게임)등을 함께 하며 페이지 자체를 놀이터 개념으로 만듬
- 처음처럼


- 청하와 비슷한 분위기로 운영되며, 브랜드간 소통이 되려 소비자들에게 재미를 줌
- 처음처럼이 모델이 된 연예인 내세워 sns운영하고 있으나, 이를 운영자의 팬심이 잘 드러나게 함으로써 우리들이 좋아하는 그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여 호응을 이끔
- 쿠캣

페이스북

인스타
- 오늘 뭐먹지 라는 채널에서 시작되었으며, 시작 당시에도 다양한 음식을 맛있게 올려 호응이 컸었던 페이지
- 지속적으로 매우 다양한 컨텐츠를 꾸준히 올리며 이탈을 방지
- 인스타그램


-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전체적인 인스타 톤을 초록색 계열로 통일하였음
- 계정도 전체적인 제품 계정과 카테고리 안에 발색등을 보여줄 수 있는 계정을 따로 분리하여 계정별로 톤을 유지하는 전략
- 제일제당

- 우수사례로 꼽힌 인스타그램
- 각종 음식들의 사진을 올리며, 자사 제품도 맛있게 촬영해 소비욕구 자극
- 대학내일


- 20대 대학생을 타겟팅하는 전략과 일맥상통하게 '감성'을 내세워 피드 구성
- 20대의 '병맛'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계정은 계정의 톤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해 다른 계정으로 운영함으로써 분리
- 홈플러스


- 제품 이미지를 올리는 동시에 게시글이 올라갈 당시 유행하는 내용들 (mbti, 피식대학 콘텐츠 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부수적인 재미를 추가함
- 유튜브



- 기업 유튜브 컨텐츠임에도 불구하고 670만회가 넘는 조회수를 달성했으며, '빙그레 메이커'라는 애니메이션 컨셉 외에도 빙그레 제품을 소비하면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생활을 보여주는 '빙그레 탐구생활' 이라는 컨텐츠와 같이 다양하게 채널을 구성함
- 댓글 반응 또한 매우 긍정적임으로 브랜드 이미지 개선과 유지에 유리
- 매일유업


- 막장 드라마 라는 컨셉의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극 안에서 제품을 녹여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청자들에게 호기심을 유발
- 지그재그


- 채널 내부에서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시하고, 패션 관련 업체이므로 코디에 관련한 팁 위주로 전달하고 있음
- 단순 팁 전달보다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유입을 이끈다음, 상세 페이지에 제품 정보를 삽입하면서 전환까지 꾀한 전략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