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당근마켓 기업분석

1. 서비스 분석

  • 중고나라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12c1d091-8834-464c-88a5-a0e5247c9676/Untitled.png

    • 네이버 중고나라 카페에서 시작
    • 과거부터 지금까지 국내 최대 규모 카페
    • 최근 들어서 어플리케이션 출시
    • 안정적인 성장세
    • 중고거래를 떠오르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플랫폼
  • 번개장터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7fb471aa-21e6-4977-a298-7f114e2dc671/Untitled.png

    • 국내 중고거래 첫 어플리케이션
    •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중고거래 플랫폼
    •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젊은 층에게 인기
  • 당근마켓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e7d63c17-2746-4ced-b493-d256018a1d75/Untitled.png

    • 초기 판교 지역 기반으로 성장
    • 배송거리를 지양하는 근거리 직거래 플랫폼
    • 첫 앱 로그인시 GPS를 활용한 지역인증 필수
    • 제 1순위 비즈니스 목표가 중고거래가 아닌 커뮤니티 서비스
    • 2020.9 월 순 방문자수 1000만명 돌파2020.9 월 순 방문자수 1000만명 돌파

    2. 인구 통계적 특성(DAU 기준)

    • 그래프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fc3f92b0-1572-43ac-a770-1e6dee5e2eba/noname01.png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323b66b8-5fd7-4b45-9613-c09226a98315/noname02.png

    • 남성은 6%, 여성은 66.1% 로 여성의 비율이 높음

    • 30-50대 여성 사용자가 몰려있는걸 보아 주부가 주 사용층임을 엿볼 수 있음

    • 성별과 연령대별로 표시한 그래프

    • 번개장터에서의 남성의 비율 8%, 주로 10-20대로 구성

    • 중고나라의 남성의 비율 8%, 주로 30-40대로 구성

    •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확연히 다른 사용자 분포

    • 이는 서비스를 어디에 초점을 맞추었느냐의 차이

    • 시장을 세분화하고 어떻게 타겟팅 하였는지를 보여주는 STP 전략의 활용이 중요함을 드러내는 사례

    3. 이용 빈도별 특성(MAU 기준)

    • 그래프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0c02d960-b755-4926-9dfd-107e3e214e5d/noname03.png

    • 당근마켓은 타 경쟁사보다 Heavy User와 Middle User, Light User의 비율이 다른 앱보다 높음

    • 이유는 지역기반 서비스이기 때문에 올라온 제품들을 SNS피드처럼 살펴보는 경향이 있음

    • 심심하면 당근마켓에 들어가 구경하는 사용자들이 등장함

    • 광고주 입장에서 광고 노출 횟수와 시간이 확보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플랫폼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기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

    4. UX/UI 구성

    • 사용자는 Primary User:중고거래 사용자와 Secondary User:지역업체로 구분

    • Primary User의 핵심요소가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UX/UI 구성

    • 당근마켓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사례

      1. 동네범위 지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최대 2개 인증, 집과 회사(학교) 근처로

      설정 가능하도록 고려

      1. 채팅 텍스트 내용 분석 : 채팅을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안내메시지 전송, 사용자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해줄 뿐만 아니라 일정 관리하는데에 있어서 편의제공

      1. 키워드 알림 : 원하는 제품을 찾기 위해서 앱을 들라날락일 필요 없이 키워드를

      등록해놓으면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줌

      1. 감사인사 : 거래 후에 매너 평가를 통하여 감사인사 전달, 하나의 의도는 사람

      사이 정을 중시하는 당근마켓 특징 극대화, 두 번째 의도는 플랫폼 입장에서 거래가

      완료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한 장치

      1. 매너온도 : 초기 온도 36.5도로 설정하여 인간미를 녹여내고 싶은 의도, 체온이

      높아질수록 해당 사용자의 신뢰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

    5. 수익모델

    • 인포그래픽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123aba5e-53f7-4cf2-8be0-317460c5c76a/noname04.png

    • 공통점 : 광고모델

    • 차이점 : 번개장터와 중고나라는 안전거래를 통한 부수적 수입 / 당근마켓은 지역기반 광고

    • 안전거래는 사기 예방 기능

    • 지역 기반광고를 통하여 업체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광고를, 소비자는 내가 정말 필요한 광고에 노출

    6. 비즈니스 목표

    • 세 플랫폼 모두 소비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필요한 물품을 구할 수 있는 것에 목적
    • 커뮤니티 사업으로 발전 계획
    • 지역기반의 숨고나 탈잉같은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
    • 다양한 변화 속 기술의 발전을 적극활 용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목표
    • O2O 서비스 플랫폼들이 협업
    • 매번 고객 획득비용을 낭비하는 서비스를 위한 업체들이 반길 것
    • 장기적으로 자리잡는다면 소상공인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

    7. 위험요소

    • 번개장터와 중고나라에서 당근마켓과 유사한 서비스를 런칭한다면?
      • 직거래 위주 플랫폼 특성상 사기 문제 해결 했던 것이 당근마켓의 이점
      • 직거래관이라는 타이틀로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가정하에 사용자 유출의 위험
      • 당근 마켓의 돌파구는 기존 비즈니스 목표에 충실하는 것
      • 사람 사이의 정을 강조하여 서비스 자체의 특별함 제공
      • 강점을 내세우고 약점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법 구상 필요
    • 유례없는 바이러스 ?
      • 공적마스크 판매처 알리미에 동참, 매점재석에 대응하기 위한 제재
      • 사용자의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향상에 노력
    • 비대면 문화의 시작?
      • 사람 사이의 정이 없어진 비대면 문화 속에서 사람과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기술로의 발전 가능성

    8. 마케팅 전략

    • 초기 전략

      단순 홍보이벤트(출퇴근길 드론 홍보, 사은품 이벤트 등), 구매의사가 있는 사용자보다 판매 의사가 있는 판매자를 적극 유치, 앱 주간 방문자 1000명 달성 시 이후 중기 전략 실시

    • 중기 전략

      서비스 확장 단계

      판교 지역 기반에서 벗어나 분당구로 확장, 초기 회사 이메일 인증을 휴대폰 인증으로 변경

      네이밍도 판교장터에서 당근마켓으로 변경

      카페에 글올리는 홍보전략과, 영상광고 등 다양한 광고 진행

      네트워크 효과를 위하여 친구 3명을 초대하면 커피 쿠폰을 주는 친구초대 이벤트 진행 중

    • 현재 전략

      도시 진출을 위한 기반 마련, 거점 도시 진출을 위해 움직임

      초기 오픈 신청제를 도입하여 대기자 350명이 모이면 런칭이 되어 공격적으로 유입 확대. 이후자연스럽게 새로운 유입이 지속됨

      이외 방송매체를 활용한 ‘유랑마켓’, ‘놀면뭐하니’, TV 프로그램 및 네고왕과 같은 유튜브 채널 협업하여 진행

      SNS에서 중고거래를 자랑하며 유랑마켓과 당근마켓과 같은 해시태그를 붙이며 자연스러운 마케팅 현상 나타남

    • 기타

      기존 중고거래 인식이 단순하게 절약을 위한 것이라는 시선에서 벗어나 트렌드로 재탄생. 환경 보호를 위한 목표 현실화 뿐만 아니라 유행의 재유행 현상으로 인하여 밀레니얼 세대의 선호도 급증으로 인한 배경이 한몫 하였음.

    9. 결론

    • 당근마켓이 기존 서비스와 비교하여 확연히 차이점을 가지는 것은 아님
    • 서비스의 초점을 다르게 잡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음
    • 이로부터 시장을 보다 면밀히 살펴보고 세분화할 필요성이 대두됨
    • 기존 서비스 제공자들이 고전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 필요
    • 사용자 입장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적극 반영해야 할 것

    원문 url : https://www.notion.so/582826b3145f4ed486cef315f868c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