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구글 애널리틱스가 유저가 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알까
Referrer 값
직접(direct/none) : referrer 없음
추천(domain/referral) : referrer 값 있음
Organic(channel/organic) : referrer 값(검색엔진)이 있고, 검색쿼리(키워드)가 있음
URL 파라미터
Key, Value가 쌍으로 존재하는 파라미터 기록, 여러 파라미너틑 &로 연결해서 사용가능
활성 파라미터와 사용하지 않는 수동파라미터가 존재
? 추가하여 key=value 모양의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파라미터는 &으로 연결해서 사용가능
캠페인 파라미터
UTM 은 Urchin Tracking Module의 줄임말로 URL뒤에 붙어서 GA에 해당링크 정보 전달
종류
GA source/medium 처리 로직
- 구글 광고를 통한 유입 확인
google / cpc 또는 google / banner
- utm 파라미터 확인
utm 파라미터 설정 값대로
- 검색 엔진(organic) 유입 확인, 키워드 확인
검색 엔진 이름 / organic
- 웹사이트 referrer 정보 확인
referrer 도메인 / referral
- 직접 유입
(direct) / (none)
유저 행동과 주요지표
페이지 방문 관련 측정 항목
페이지 뷰 수 : 유저가 특정 페이지에 방문하여 일으킨 뷰 횟수, 방문할때마다 카운트
순 페이지 뷰 수 : 세션 1회당 페이지 뷰 1회로 계산 (페이지 뷰 1회이상 기록 세션 수)
방문 수 : 서비스를 방문하여 세션 시작한 수, 전체 방문수는 전체 세션의 숫자와 동일
- 예시
- 페이지 종료 관련 측정 항목
종료 : 세션이 종료됨을 의미함
종료율 : 해당 페이지 종료 수 / 해당 페이지뷰 수
이탈 : 방문 페이지, 세션 시작 페이지에서 세션이 종료됨
이탈률 : 해당 페이지에서 이탈한 수 / 해당 페이지 방문 수(랜딩 페이지로서 성과 측정 필요, 잘만들어져 있어 성과 측정 가능)
종료율 : 페이지 머문 시간, 페이지 뷰 수 등과 복합적 비교를 통한 성과파악(전체 페이지 뷰 대비 데이터 이기 때문에 성과 가지고 좋다 나쁘다 평가 x)
- 예시
- 페이지 가치 관련 측정 항목
웹 사이트 내 행동
고객의 웹 사이트 내 행동은 어떻게 측정할까 ?
이벤트의 개념
카테고리 : 이벤트 유형 의미하는 가장 큰 단위 값
액션 : 이벤트 행동 의미하는 값 (필수값)
라벨 : 이벤트에 따른 추가적 정보 입력
값 : 이벤트 가치에 대한 설정
이벤트 코드 삽입 : javascript 코드 삽입 통해 설정 가능
액션만 gtag(‘event’,’signup’)
액션 카테고리 라벨 값 —-GTM 활용
행동보고서 (이벤트)
구글 애널리틱스에 전송된 이벤트( 고객이 페이지 뷰 제외하고 한 행동)의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보고서
인기 이벤트 :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차트
- 총 이벤트 수 : 전체 이벤트 수
- 순 이벤트 수 ; 세션 당 여러번 발생한 이벤트는 한번으로 취급한 이벤트
- 이벤트 값 : 이벤트 값 세팅한 값을 의미
- 평균 값 : 이벤트 값 / 총 이벤트 수
페이지: 페이지 별로 이벤트 수 비교
이벤트 흐름 : 행동 흐름을 이벤트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