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App 광고 Overview

광고 클릭 → 구글플레이/앱스토어로 이동 후 설치 (웹마케팅 관점에서는 이탈, 트래킹 x)

  • Deep Link : 구글 플레이 스토어 방문 후 트래킹

  • 모바일 앱 마케팅 광고 지표

  • App campaign

    마신러닝 기반 광고 운영으로 인벤토리 타겟화해서 캠페인 최적화

    텍스트/영상/이미지 소재 모두 활용 가능

    각종 앱 내에 Admob 지면까지 가능

  • 앱 캠페인에서 마케터가 결정하는 영역

    광고 목표 - 광고 소재 - 예산 - 입찰가

  • 소재세팅

    Text 소재(최대4) / 이미지 소재(최대20) / 영상 소재(최대20) / HTML5(최대20)

    • 이미지 TIP

      1. 텍스트트는 모바일 고려, 간결

      2. 4개 슬롯 충분히 활용해 다양한 소구 포인트

      3. 연결성 관련성 높은 메세지로 구성

    • 영상 TIP

      1. 실제 앱이나 게임 사용하는 화면 효과 좋은편

      2. 초반 몰입장치 추가, 유저가 얻을 수 있는 혜택 영상이 성과 우수

      3. 초반에 브랜드 노출 시키는 것이 광고상기도 높이는데 효과적

      4. 영상 길이 6초와 15-30초 추천

      5. 영상 포맷 다양하게

    2. 쇼핑 광고 Overview

    • Google Merchant Center 에 쇼핑피드 등록해야함

    • 운영방식

      제품 키워드 검색시 게재가능

      키워드 선택 필요 없이 상품 피드 기반하여 자동 완성

      광고 클릭 시에만 비용 과금, 한도 설정통해 지출 관리

      전환 추적 통해 광고 성과 측정 가능

      게재 순위는 CPC 입찰가 광고의 품질평가 지수 기반하여 결정됨

    • 이점

      새로운 쇼핑 매체

      효율적 캠페인 관리

      데이터 머신러닝

    3. Full Funnel 설계

    • AARRR FUNNEL

    • 획득 단계에서의 구글 캠페인(브랜드 인지도 목표)

      마스트헤드 활용 도달 극대화 , 범퍼+트루뷰 활용 노출 및 조회 중심 캠페인

      사용자 기반 타겟팅/콘텐츠 기반 타겟팅

    • 활동 단계에서의 구글 캠페인(트래픽 확보)

      사이트 유입 목표로 디스플레이 캠페인 운영

      획득단계에서 확보된 동영상 시청 모수 활용 리마케팅

    • 유지 단계에서의 구글 캠페인(재방문 및 전환유도)

      리마케팅 목록 활용 리타겟팅 캠페인

    • 구매 단계에서의 구글 캠페인(구매여정 끊기지 않도록)

      구매전환유저 : 유저모수 리마케팅 활용한 다른 관심 상품 크로스 셀링

      미전환유저 : 리마케팅 활용한 니즈 환기 및 세일즈 소구

    • 추천 단계에서의 구글 캠페인(타겟 확장 옵션을 통해 전환 볼륨 확장, 유사유저 캠페인 확장)

    • 최적화 TIP

      1. 광고 KPI 확실하게 정한 뒤 캠페인 설계

      2. 입찰 : 학습과 상관관계 적은 수동 CPC → 향상된 CPC → Target CPA 순으로 캠페인 최적화

      3. 타겟팅 : 다양하게 타겟팅 시작, 비즈니스에 맞는 유저 찾아나가며 유사도 높이기

      4. 예산 : 효과적 머신러닝 위해 Target CPA 대비 최소 10-20배 일 예산

      5. 광고 소재: 다양한 사이즈와 유형, 소재 효율 기반 최적화, 모바일향 소재로 준비

    4. 구글 캠페인 트러뷸슈팅

    1. 일일 예산 빨리 소진 되는 경우
    • 입찰가 낮춘뒤 광고비 소진 추이를 모니터링하면서 적정 입찰가 세팅
    1. 일일 예산이 소진 되지 않는 경우
    • 입찰가 너무 낮아서 : 입찰가 상향 조정 후 소진 추이 모니터링
    • 타겟팅 모수가 좁아서 : 잠재 고객 타겟팅 및 콘텐츠 타겟팅 확대 , 모수 확장
    1. 클릭율이 너무 낮은 경우
    • 검색캠페인 : 클릭 효율 기반 키워드 셋 점검 및 확장, 광고문안 클릭 유도형으로 변경
    • 디스플레이캠페인 : 사이즈 중심으로 최적화, 소재 몇확한 USP 소구 및 CTA 삽입
    • 유튜브캠페인 : CTA버튼 캠패니언 배너 등 클릭가능 영역활용하여 메세지 전달
    1. 전환율이 낮은 경우- 주로 전환 학습이 제대로 이워지지 않음
    • 잦은 세팅변경 : 수동 CPC 캠페인 무관하나 전환수최대화 or 타겟 CPA 캠페인 진행시 잦은 입찰가, 타겟, 예산 변경은 전환학습 방해
    • 전환기준오류 : 최소 전환은 주당 50개 정도, 너무 어려운 전환목표를 최적화 기준으로 잡은 경우 많은 시간 소요. 유의미한 1차 전환 지표 정도를 기준으로 학습시킬 것을 권장
    1. 소재 검수가 되지 않은 경우 - 원래 영업일 기준 1일 이내
    • 비승인 되는 경우 업종별 제한사항 등의 정책사항
    1. 광고가 노출 되지 않는 경우 - 계정 큰 단계부터 점검 필요
    • 계정 단 : 예산 이슈, 계정 정지 이슈 없는지 체크
    • 캠페인 단 : 캠페인 시작/종료일 및 기기/위치/언어 타겟팅 체크
    • 광고그룹 단 : 타겟팅 좁거나, 입찰가 낮은지 체크
    • 광고 단 : 광고 등록 여부 확인 및 광고 승인 상태 확인(검토,비승인상태는 노출x)
    • 검색광고의 경우 위에서 이상없다면 소재 품질평가점수가 낮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으로 노출점유율 및 품질평가 점수 확인 필요

3. 운영하기

  • 목적 : 동영상 광고 주요 KPI는 도달 및 영상 조회 통한 인지도 확보, 고려도 증대 및 전환유도

  • 고객 구매여정 윗단계 공략

  • 목표설정 > 잠재고객 누구 > 잠재고객의 상황과 니즈 > 어떤 크리에이티브

    1. 브랜드를 알리는 것이 목표라면? 도달과 노출 중심 광고(범퍼,트루뷰 포 리치)

    2. 구매 고려도 증대가 목표라면? USP를 담은 메세지로 조회 중심의 광고(트루뷰 인스트림)

    3. 실제 전환 유도가 목표라면? 콜투액션 담은 메세지로 전환 중심의 광고(트루뷰 포액션)

  • Google Ads의 잠재고객 관리자 활용

  • 효과적인 YouTube 영상 캠페인

    잠재고객 분석 X 캠페인 영상 기획 X 타겟팅

  • 유튜브 캠페인 운영 프로세스

    인지단계(범퍼영상등으로 브랜드 노출) → 고려단계(매력소구) → 전환단계(콜투액션)

  • 운영 TIP

    세일즈 목적 - 내 브랜드를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고객 타겟팅

    브랜딩 목표 - 광고를 보여주기 적합한 모든 타겟

  • 고려사항

    1. 영상 길이 범퍼 6초, 트루뷰 15-30초 이내

    (30초이상 조회시 과금, 영상 길수록 조회목표 장벽 높아서 CPV가 높아짐)

    1. 세팅가능한 클릭 요소 활용(CTA버튼)

    2. 브랜딩도 중요하지만 잠재고객 고려한 메세지 중요

    (USP Unique Selling Proposition)

    1. 모바일향 : 모바일에서는 속도감 있는 광고
  • Key point

    1. 광고 목표에 맞는 핵심 메세지에 집중

    2. Skip 당하지 않는 광고 위해 선택과 몰입 순간 잘 활용하기

    3. 모바일 퍼스트 감안해 모바일 적합한 포맷과 속도감으로 몰입도 높이기

1. Youtube 광고 Overview

  • 광고 종류

  • 마스트헤드

  • 범퍼애드

  • 트루뷰 포 리치

  • 1000회 노출당 비용

  • 트루뷰 인스트림

  • 트루뷰 디스커버리

  • 컴패니언 배너

  • CTA 버튼영역

  • 트루뷰 포 액션

  • 입찰전략

2. Youtube 채널 Overview

  • 최종 화면 및 카드 설정의 장점

    1. 동영상시청에서 끝이 아니라 시청자 추가 상호작용 유도 가능

    2. 전환이 어려운 동영상 광고에서 최종 화면 세팅을 통해 전환가능성 높임

    3. 한동영상으로 충분하지 않은경우 추가로 연결시켜 브랜드스토리 텔링 가능

    4. 방문 유도하여 상품에 대한 인식 확인

    5. 최종화면을 이벤트 홍보나 세일홍보등 추가배너 기능처럼 활용

  • Trueview 인스트림 광고 세팅

    • 광고 목표 설정 : 제품 및 브랜드 구매 고려도 / 목표에 따른 안내 없이 만들기
    • 캠페인 유형 : 동영상
    • 맞춤 동영상 캠페인
    • 캠페인 이름/ 예산 설정
    • 입찰 전략 최대 CPV : 이것으로 인스트림 캠페인임을 확인
    • 인스트림만 진행할 경우 YOUTUBE 검색결과 체크박스 체크 해제
    • 언어 위치 타겟팅
    • Brand safey 고려한 인벤토리 설정 - 도달범위와 관련
    • 제외된 콘텐츠와 라벨 - 브랜드와 맞춰 고려
    • 타겟팅할 기기, 광고 게재 빈도, 광고 일정 세팅
    • 확장 인구통계 정보
    • 최대 CPV 입찰가 설정
    • 광고 내보낼 동영상 선택
    • 인스트림 광고 선택, 도착URL,표시URL,클릭유도문안, 컴패니언배너,광고이름 설정
  • Trueview for action 세팅

    • 동영상
    • 판매/리드/웹사이트 트래픽 선택 후 동영상 선택시 전환광고임을 명시
    • 타겟 CPA or 전환수 최대화
    • 클릭 유도문안(CTA문구 결정) 한글 5자 , 광고제목 입력 한글 7.5자
  • Trueview 디스커버리 세팅

    • 디스커버리 광고는 별도의 URL 세팅하지않고 태널이나 동영상보기 창이 방문페이지
  • Trueview for Reach 세팅

    • 타겟 CPM
    • 인스트림과 동일한 세팅
  • 범퍼광고 세팅

    • 동영상
    • 타겟 CPM
    • 네티워크 검색결과 비활성화
    • 6초짜리 영상으로 선택 ( 본편 베리에이션), 컴페니언 배너 설정

2. 디스플레이 광고 만들기

  • 세팅항목
    • 캠페인 : 캠페인 유형/ 목표 / 광고 네트워크 / 위치 / 언어/ 입찰전략 / 예산 등
    • 광고그룹 : 타겟팅 / 입찰가 등
    • 광고 : 광고 소재
  • 광고 순환 게재 : 최적화 (가장 실적이 우수한 광고 설정)
  • 타겟팅 설정 > 타겟팅 확장 가능 > 새 광고 소재 추가 > 캠페인 만들기

3. 디스플레이 광고 유형

  • 이미지 광고

    1. 애니메이션 길이 30초 이내, 반복되지만 30초 후 정지

    2. 명확성 및 관련성 : 가독성있고, 회사 로고 등 식별 정보 표시

    3. 정문성 수준 : 동작하지 않는 기능(여기 CLICK)을 담지 않고 섬광 효과 지양

    • 광고 소재 사이즈 참고
  • 최근에는 이미지 광고 < 반응형 광고

4. 디스플레이 광고 운영하기

  • 입찰 전략

    1. 클릭 기반 전략 : 초기 히스토리가 없기 때문에 전환 확보위해 활용

    2. 향상된 CPC : 최대 30% 높은 입찰가 비딩하여 전환 확보에 용이

    3. 전환 기반 전략 : 초기 학습된 전환 바탕으로 머신러닝 기반 입찰

  • 광고 타겟팅

    콘텐츠기반 타겟팅 과 사용자 기반 타겟팅 동시 적용하면 교집합 타겟팅 되서 모수가 少

  • 키워드/문맥 타겟팅

    도달이나 노출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특징이 있어서 높은 광고 예산이면 광고비 소진어려움

  • 주제 타겟팅

    도달 모수에 이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넓은 카테고리의 주제 선택

  • 게재위치 타겟팅

    광고 소재와 게재될 위치가 명확, 제한하면 도달 이슈 있을 수 있음

  • 사용자 기반 타겟팅

    고객의 관심분야/구매의도/비즈니스와 상호작용 바탕 사용자 행동 기반

    • 관심분야 - 평소에 특정 분야에 관심 많아 활동 많은 사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관심갖고 있는 분야 타겟팅- 가장 흔한 방식 중 하나

      맞춤 관심분야 타겟팅으로 설정가능 관심사 외에 키워드 or URL입력해 커스텀

    • 구매의도 - 구매 목적으로 최근 참색 많이 한 사람

      사용자가 적극적 검색했던 카테고리 타겟팅 - 고려&전환목표에서 활용

      맞춤의도 타겟팅 - 직접 커스텀

  • 리마케팅/유사잠재고객 타겟팅

    잠재고객 만들기 활용하여 유효한 리마케팅으로 자동생성

  • GDN 캠페인

    • 입찰가 조정

      한번에 15% 이하 폭 조정, 광고비 소진 최적화 할때는 10%에서 조정

    • 세팅 특정 내용 삭제

    • 광고 일정 수정

    • 게재 위치 제외

  • TIP

    1. 타겟팅은 넓게 시작 → 점차 좁게

    2. 전환 무관 입찰전략으로 시작 → 전환 중심으로 이동

    3. 소재 많고 다양하게, 효율기반 선별하여 최적화

    4. 광고 그룹 구성시 상품별, 타겟팅별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

    5. 입찰가나 예산 조정시 머신러닝 고려해 10-15% 범주 이내에서 변경

    6. 캠페인 운영시 게재위치 있다면 제외 리스트 통해 정리가능(키즈,정치 지면)

    7. 키워드나 광고 소재 운영하면서 비효율 소재 교체

1. 디스플레이 광고 Overview

  • GDN(Google Display Network)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해서 전 세계 인터넷 유저의 90%에게 웹사이트, 동영상, 앱 등 지면을 통해 광고를 도달시킬 수 있음

    장점)

    • 고도화된 타겟팅

      ex)키워드(문맥)타겟팅, 주제 타겟팅, 프리미엄 지면, 다양한 소재(이미지,배너,gmail)

    • GDN 광고 설정 프로세스

      캠페인 구성 →광고그룹/타겟팅설정→광고 소재 세팅

    • GDN 캠페인 운영 프로세스

      심규잠재고객 타겟팅 기반 디스플레이 캠페인 →리마케팅기반 →유사잠재고객기반

                        (타겟&소재 A/B테스트)                      (최적화작업)           (볼륨확대)
      
    • GDN 사용자 기반 타겟팅 종류

      관심사/구매의도/유사유저(리마케팅)

    • 입찰전략

      트래픽 목표 - 수동CPC / 클릭수 최대화 (캠페인 세팅 변경에 유의)

      전환 - 향상된 CPC/**전환수 극대화/타겟CPA/타겟ROAS(**전환액션세팅시 전환가치 세팅필요)

      최소 1-2주 정도 학습기간 필요하고 전환 트래킹 활성화 필수

  • 디스플레이 광고의 효과

    1. 브랜드 인지도 상승 : DA광고를 통해 브랜드 및 제품을 알려 인지도 확보

    2. 신규 고객 유입 : DA광고를 통해 신규 고객의 사이트 유입 유도

    3. 방문 고객 고려도 증가 : 리마케팅 광고 통해 기존 방문 고객 리타겟팅

    4. 제품에 대한 검색 유도 : 우리 제품을 인지한 고객의 검색 유도

3. 검색광고

  • 검색광고의 필요성:

    인지 → 탐색 → 고려 → 전환 : 탐색 단계는 고객이 니즈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환확률 높아짐

  • 영상광고-(노출)-디스플레이광고-(방문유도)-검색광고-(전환)

  • 특징

    1. 사용자 특성보다 사용자 검색어와 키워드 매칭이 중요

    2. 자발적 니즈 가지고 검색할때 노출되는 광고로 타 유형 광고 대비 높은 전환율

    3. 검색량이 노출량이 되며 검색엔진의 검색량에 따라 결정됨

  • 검색광고의 핵심요소

    1. 키워드 : 구체적 키워드 설정

    2. 광고문안(T&D)/광고소재 : 효과적으로 작성하여 클릭 유도

    3. CPC 입찰가 : 경쟁사 광고 대비 내 광고를 우선순위에 올릴 수 있음

    • 광고 게재 순위 고려

      품질평가점수란?

      • 광고 관련성 : 키워드와 광고 소재의 관련성 평가하는 항목
      • 방문페이지 품질 : 랜딩페이지가 실제 광고 클릭해 유저에게 얼마나 유용한지 평가
      • 예상 클릭율 : 클릭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다른 광고주들의 키워드 실적을 고려
    • 구글 검색 광고소재의 두 가지 유형

      • 텍스트 광고 (흔한 경우)
      • 반응형 검색광고 (제목, 문구 설정하면 머신러닝으로 자동완성되는 다양한 광고 소재)

      —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 광고관련성을 높여주어야함

      1. 광고제목 2) 광고설명
  • 검색광고의 최적화 목표

    CPC(Cost Per Click) ↓ CPA (Cost Per Acquisition)↓ CVR ↑(Conversion rate) :

    검갱광고 경우 광고품질점수 상승 기반 CPC 개선하여 CPA 단가 절감이 가장 큰 최적화 목표, 이에 따라 전환율 일부 개선 가능

  • 검색광고 키워드

    일치 금색 < 구문 검색 < 확장검색 순으로 검색량이 많음

    : 구글 광고를 운영할 때는 일치검색으로 시작하여 효율 키워드 중심으로 점차적 확대해나갈 것

    대표키워드 : 검색 쿼리가 가장 높은 만큼 입찰 경쟁도 치열

    세부키워드 : 검색 쿼리가 적은 만큼 입찰 경쟁도 적음

  • 구글 검색 광고의 강점

    1. 경쟁사 키워드 : 타사 브랜드 키워드 광고 가능 경쟁사 검색한 고객을 내 웹사이트로 방문 유도

    2. 광고 확장: 추가적인 클릭 영역 확보 가능, 광고 확장 통해 평균 10-15% 클릭율 상승

    • 사이트링크 : 추가적인 링크 삽입(사이트 인지효과/인게이먼트증가/전환율증가)
    • 콜아웃 : 비즈니스 설명(인게이지먼트증가/USP 소구:비즈니스 강점)
    • 구조화된 스니펫 : 서비스 상세 범위 안내할때 사용(전환가능성 높은 유저 방문 유도)
    1. 효율적 CPC : 검색량은 적지만 키워드 입찰 경쟁이 적으므로 상대적 저렴한 입찰가로 우수한 키워드 낙찰 가능

    ++++ 효과적인 광고 소재 만들기_반응형 검색광고(아직 beta):

    광고 제목 및 설명을 복수로 제공하면 머신이 다양한 조합으로 최적화된 광고 내보내줌

    • TIP

      1. 키워드는 대표키워드 보다 세부키워드가 높은 품질 평가지수 획득

      2. 광고그룹 : 광고 그룹은 제품 카테고리나, 키워드 유형별로 그룹핑하는 것이 광고 용이

      3. 광고 문구 내에 키워드 포함하는 것이 광고 관련성을 높여서 높은 품질 평가 지수 획득

      4. 신규 캠페인과 리마케팅 캠페인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을 추천

      5. 광고확장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클릭 영역 넓혀 광고 운영

      6. 확장형 텍스트 광고에 광고 제목과 설명 모두 넣어 관련성 높은 소재 되도록 운영

      7. 반응형 검색광고 소재를 활용하면 높은 클릭율과 전환성과 얻을 수 있음

  • 검색광고 게재지면

    1. Google 검색결과 2) Google Play 검색결과 3) Google 쇼핑&지도 4) Google 검색 파트너
  • 검색캠페인 구조

    1. 캠페인 : 캠페인 유형/목표/광고 네트워크/위치/언어/입찰전략/예산 등

    2. 광고그룹 : 키워드/입찰가 등

    3. 광고 소재단 구성 : 광고 소재

3. google ads

  • 검색

  • 디스플레이(배너)

  • 영상

  • 부동의 점유율 1위, 방대한 데이터 기반(국내 활용성 높은 DMP활용)

  • Ad Tech 최강자, 광고 플랫폼 집약체

  • mobile first의 우위를 가져갈 구글 플레이, 구글 플레이 매출도 증각

  • 국내 사용 검색엔진에서 타사 점유율 약 70% 이상

  • 마케터 스스로 운영을 하는 self-serve 중심 다양한 광고 유형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

  • 장점

    1. 다양한 목적의 광고 가능 (브랜딩, 웹사이트 유입, 매출 증대, 앱다운 등)

    2. 다양하고 넓은 광고 지면과 유형 ( 다양한 형태로 여러 네트워크와 효과적인 유형 선택 가능

    3. 비즈니스 특성을 고려한 맞춤 광고 가능

    4. 광고 효과 측정 (광고 조회한 사용자 및 간접 전환까지 여러 지표를 통한 효과 측정 가능)

    5. 합리적 과금 방식 및 예산 효율성(적은 예산으로 시작 가능, 효율적 과금방식)

    6. 애드테크 기반 최적화(빈틈 없는 리마케팅과 광고 최적화 용이)

  • google ads 구조

  • google ads 광고 절차

  • .구글 광고 게재 원리

    최대 입찰가 X 품질평가 점수 = 광고게재 순위

    일반적인 경매와 다르게 품질평가점수를 반영하여 우선순위 결정하는 원리

  • 품질평가 점수

    1. 광고 관련성 : 검색어, 키워드, 광고 소재 등의 상호 관련성

    2. 방문 페이지 품질 : 랜딩페이지와 광고 관련성, 사용자 편의성, 정보 투명성

    3. 예상 클릭율 : 유저가 실제로 광고에 얼마나 관심가지고 있는지

    품질평가 점수 높으면 입찰비용 감소하고 게재 순위 상승 가능,

    품질 좋은 광고 콘텐츠 갖춰야하는 이유

  • 구글 마케팅 진행 과정

    캠페인 목표 및 잠재고객 설정 > 광고 Data 확인&최적화 > 광고 볼륨 확장

    1. 캠페인 목표 설정 : 어떤 KPI 달성을 할 것인지 계획해야함, 마케팅 방향성, 우선순위

    2. 잠재고객 설정 : 우리 캠페인에 맞는 잠재 고객 설정이 중요

    3. 광고 최적화& 볼륨확장 : data 기반 전환 볼륨 확장을 위한 캠페인 진행하여 최적화

    • 단계별 캠페인 목표 : 인지도 확보 / 고려도 증대 / 전환

      고객의 구매 여정 윗단계인 획득부터 구매 이르기 까지 단계별 캠페인 목표에 맞게 광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

      1. 인지도 확보 (브랜드 인지도, 도달 및 노출 확보 및 제품 홍보)
      • 타겟 CPM : 유투브 광고에 사용되는 입찰 방식,SKIP 없는 6초 범퍼광고나 Trueview for reach에 사용되는 1000회 노출 당 최대 지불 금액 설정
      • 최대 CPV : 유트부 광고에 사용되는 입찰 방식, SKIP 있는 선택할 수 있는 조회당 지불할 최대 금액 설정, 30초 조회당 과금 방식
      • 타겟 노출 점유율 : 광고 노출되는 것이 중요 목표일때 원하는 위치 얼마나 자주 노출되고 싶냐에 따라 입찰
      1. 고려도 증대(고객 웹사이트 유입, 리마케팅위한 잠재고객 확보)
      • 수동 CPC : 디스플레이, 검색, 쇼핑 , 클릭 당 지불할 최대 금액 광고주고 직접 설정
      • 클릭수 최대화 : 설정 예산 내에서 클릭 수 최대한 높이기 위한 자동 입찰 전략
      1. 전환(회원가입, 장바구니 담기, 실질적인 매출 위한 전환 획득)
      • 향상된 CPC : 수동 CPC 입찰 전략 사용하나 전환 가능성 높은 클릭에 대해 최대 30%까지 입찰가 높여 적극적 전환 유도하기 위한 입찰 전략
      • 전환수 최대화 : 설정 예산 내에서 CPA 고려 X 전환수 최대한 높이기 위한 입찰 전략
      • 타겟 CPA : 설정한 타겟 전환 비용 내에서 전환 수 높일 수 있도록 입찰가 자동 설정되는 입찰 전략
      • 타겟 ROAS : 설정한 타겟 투자 수익 내에 전환가치 최대한 높일 수있도록 입찰가 자동 설정하는 입찰전략(전환 액션 세팅 시 전환가치 세팅 필요)

1. 디지털 마케팅 생태계에서의 구글

  • 적합한 미디어의 활용과 전략 설계를 위한 고객여정 설계
  • 과거의 광고 방식

    광고주(기업) → 광고 대행사 → 매체사(광고지면)

  • 프로그래매팅 광고

    DSP(광고수요)-SSP(광고 지면공급)-Data(데이터 제공&분석)

2. 구글의 광고 솔루션

  • google ads

    구글 광고 서빙 플랫폼, 검색광고 위주 였으나 디스플레이, 동영상 등 종합광고 플랫폼

  • google display Network

    프로그래매틱 광고, 광고 지면 확보하고 구매

  • google Adsense

    구글이 보유한 SSP이며, 애드센스를 통해 웹사이트 수익 가능

  • google Analytics

    데이터 로그 분석 툴, 디지털 광고로부터 발생한 광고데이터 및 비광고로부터 유입된 사이트 내 데이터 분류해주는 대표적 3rd Party 로그 분석 툴

  • google Tag Manager

    구글이 보유한 이벤트 태그 및 스크립트 위한 tool, 하드코딩없이 간편하게 세팅가능 스크립트 위한 tool, 하드코딩없이 간편하게 세팅가능

  • google admob

    AdMob은 광고주 풀을 늘려 수익을 극대화하며 CPM과 유효노출률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지원

4. 기존 용어 및 마케팅 관련 지표

  1. Impression 과 Reach의 차이

  2. CTR(Click Trough Rate) 클릭 수 / 노출 수 = 클릭률

  • CTR 1% 이하 = 다시 화이트보드로 가서 게시물에 대한 고민
  • CTR 2.5% 이상= 대박 광고 ( 간혹 10% 이상도 나옴)
  1. 전환비용(Conversion Cost)
  • 클릭을 통해 action할 경우 1개의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counting 된다
  • 광고 + 유입된 웹페이지가 하나의 flow가 있어야함
  • CPC와 CTR는 평균치 이야기 X, 자사서비스에 맞는 평균치, 목표치 잡는 것이 바람직
  1. CPM(Cost Per Mil)
  • Cost Per Mil : 1,000회 노출당 비용: CPM 높을 수록 비용이 大, 낮게 유지하는 것 중요
  • Optimized CPM ( CPM 최적화) : OCPM은 페이스북 입찰의 유형 중 하나
  • 선호하는 대상에게 광고가 도달할 수 있도록 입찰가 자동 조정
  1. 관련성 점수
  • 얼마나 관련성 있는지 1점~10점 범위에서 표시하는 지표
  • 긍정적 피드백이 많을 수록 부정적 피드백이 적을수록 관련성 점수가 높음
  • 퍼포먼스가 좋은 광고들의 관련성 점수 높음, 3점이하인경우 광고에 맞는 컨텐츠였는지 확인
  1. 빈도
  • 빈도 1-4는 정상 , 2회 이상은 봐야 사용자가 광고를 인지, 5회 이상 노출된 경우 짜증유발
  • 구매행동 단계별 적합한 캠페인 운영

5. 성과 측정에서 ‘기여’의 이해와 ‘기여기간’ 설정

  1. 조회 기여보다 클릭 기여를 우선

  2. 페이스북은 마지막 클릭 기여모델 사용(클릭X경우 마지막 조회에 할당)

  3. 기본 기여기간은 조회 후 1일 및 클릭후 28일

  4. 페이스북은 디바이스 전환 추적

  • 기여기간에 따른 최적화 목적

  • 광고 관리자 분석 데이터

    • 연령별
    • 지역별
    • 노출위치

    +++ 내보내기 버튼으로 엑셀 파일 추출 가능(xls,csv)

  • 페이스북 마케팅 퍼널

    • 성과지표

3. A/B 테스트

  • 원칙과 순서

    1. 테스트를 위한 하나의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는 그대로 유지해야한다

    2. 테스트 대상이 충분히 커야 한다

    3. A와 B에 대한 테스트를 동시간에 진행해야 한다

    4. 사용자가 A 버전과 B버전을 랜덤하게 보도록 해야한다

  • 사례 : 톤이 비슷한 이미지 X - 그 외 변수 모두 통제

  • 방법

    1. 타겟에 대한 테스트 이므로 ‘광고 세트’를 복사 및 수정

    2. A/B 테스트 하고자하는 광고 세트의 체크박스 체크

    3. 기존안과 수정안 비교해야 하므로 해당 세트 복사

    4. 생성된 사본에서 비교자 하는 타겟 수정

    5. A/B테스트 하고자 하는 타겟 수정

  • 분할 테스트 기능을 활용한 A/B 테스트 ( 지정된 4개 변수만, 3-14일, 균등분할 및 가중치 분할)

    1. 크리에이티브 : 디자이너가 제작해준 A 이미지 VS B 이미지

    2. 타겟대상 : 저장된 A 타겟 VS 저장된 B 타겟

    3. 게재 최적화 : 링크 클릭 최적화 VS 전환 최적화

    4. 노출 위치 : 모바일 뉴스피드 VS 데스크톱 뉴스피드

  • 자동화

    1. 규칙 적용하고자 하는 광고 세트 체크박스 선택 후 규칙 만들기 클릭

    2. 아래 조건 만족한 경우 광고 세트 비활성화

    3. 기간 내 해당 조건 만족할 경우, 위 액션 발동, 어느 수준 이상 광고 집행된 후 성과 평가하기 위해 총 노출수에 대한 최소값 세팅

  • 테스트 기간

    1. 캠페인 목적, 결과당 비용, 광고 예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노출 > 전환으로 갈수록 결과당 비용이 높을수록 일일 예산이 적을 수록 기간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