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Overall
마케터의 포지션을 나누는 이유 : 커뮤니케이션 과잉 사회에서 살고 있으며, 마케팅 방법이 고도화되기 때문에 마케터 포지션이 나눠짐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은 적절할 때에, 적절한 상황에서 발생 : 일반적 의미 x , 최선의 소재를 선별하여 전달하는 것
STEPS
- 마케터의 역할 : 잠재고객 마인드에 존재하고 있는 사실에 연계시킬 방법 모색
- 스페셜리스트 : 독특한 포지션 확립, 스스로 전문가로 정의
- 제너럴리스트 : 역할진행에 있어서 전체적/융합적 사고 및 이해도 기르는 것
- 변화대응력 : 다른 포지션의 역할 및 비전에 대해 계속 탐구하는 것
-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디지털 매체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 브랜드 마케터
마케팅의 총지휘자 , 제품의 탄생부터 소멸까지 모든 과정 책임
- 어떤옷 (Essence) / 어떤말(Coummunication)/마케팅행동(Behavior)에 따라 브랜드 성격 결정
- RFP : Request For Proposal ( 핵심타겟/핵심제품/비즈니스목표/캠페인진행예산)
- 비전과 흐름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서 문제를 수습함
- 업무 : 구체적 비즈니스 목표 제시와 캠페인 진행예산 계획, 제안 요청서 작성
STEP 1 WHY(본질-기획 : 사회적/상징적)
STEP 2 HOW(과정-제작 : 체험적/경험적)
STEP 3 WHAT(결과-수치:실용적/기능적)
2. 바이럴 마케터(WHY)
켐페인 메세지의 전달 역할
요구 역량
전략적 사고 : 여러 프로세스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 중심의 전략적 사고 중요
커뮤니케이션 : 다양한 부서 및 기관과 협업 요구
큐레이티브 : 어떤 채널에 배포할지, 적합한 시간은 언제인지, 확산 위한 전달대상 누구인지
3. 콘텐츠마케터(HOW)
크리에이터 역할로서 어떻게 무엇을 전달할지에 대한 고민 필요
요구 역량
트렌드 인사이트 : 고객반응, 시장 동향, 소비 트렌드에 대응 > 변화를 끊임없이 연구
스토리텔링 능력 : 브랜드 중심 콘텐츠 X, 고객드르이 흥미/공감 유발할 스토리텔링 메세지
학습된 창의력 : 마케팅 센스(발상력)의 향상과 스킬(기술)의 습득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콘텐츠 구상하고 실행할 수 있는 힘 필요
4. 퍼포먼스 마케터(WHAT)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가 도출되는 활동을 모니터링, WHY에 대한 근거 제시
요구 역량
효율적 타겟팅 : 유효한 타겟에게 콘텐츠 노출되도록 셋팅하여 최적의 타깃을 찾는 역할
성과지표 체크 : 콘텐츠의 노출 정도와 도달 정도 등 측정가능한 성과지표 모니터링 후 최적화
효율적 소재제작 : 텍스트, 미디어 콘텐츠부터 슬라디, 단일비쥬얼 까지 목표에 부합되되는 다양한 소재 테스트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