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마케팅에 활용하기 좋은 현 트렌드 조사

  1. Real me
  • ‘나’에 대해 알고 싶고 궁금해하는 소비자들의 성향, 현대인의 자아를 찾는 것은 가장 근원적임
  • 이런 브랜드를 구매하는 나는 이런 사람 이라는 인과관계가 성립하기도 하며 진짜 나를 찾고 싶어함
  • 챌린지 문화
    • MZ세대가 텍스트 대신 즐기는 놀이
    • 팬들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이며 대부분이 MZ세대 인것을 반영해 미디어 소비 심리 파악
    • 자신의 개성을 보여줌으로써 놀이문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시켜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판 구성
  1. 밈 (펀슈머 + B급감성)
  • 자신의 상황이나 감정을 긴 텍스트가 아닌 영상 하나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과 비슷한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행을 만들고 있음

  • 주로 드라마나 예능의 짤 형태로 만들어 적절한 상황에 공유하는 것이 대부분

  • 네티즌의 자발적 공유와 확신 행위를 통해 생겨나고 소멸하기를 반복하던 밈이 하나의 놀이문화를 넘어 현실세계의 비즈니스 트렌드를 좌우하는 축으로 성장하고 있음

    1. 롤코라이프
  • 오랫동안 준비한 완벽한 마케팅 보다는 빠르게 치고 빠지는 숏케팅이 유용해짐

  • 짧은 시간 내에 짜릿한 진폭의 재미를 느끼는 것처럼, 소비트렌드의 변화가 매우 빠름

  •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애 주기가 매우 짧아졌기 때문에 기업들의 빠른 생애사 전략이 필요

    1. 세계관 공유
  • 디지털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경험의 총제적 관리가 요구됨

  • 특정 브랜드의 세계관과 함께 공유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브랜드와 함께 세계관 확장해 나가는 것이 중요

0. 디지털 마케팅 전략

  1. Analysis
  • 목적 및 목표설정 : 디지털마케팅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명확한 목적 및 목표를 수립
  • 고객 정의 : 디지털마케팅 목적에 따라 고객을 정의하여 고객의 성향 및 관심사, 행태 등의 분석
  • 고객 여정분석 : 타겟 고객의 인지, 탐색, 경험, 구매, 공유, 사후관리의 각 단계별 고객활동을 분석
  1. Communication
  • 캠페인 설계 : 고객여정분석을 기반으로 광고, MPR, 세일즈프로모션, CRM등의 캠페인 설계
  • 미디어 믹스 : 고객접점채널에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트리플미디어믹스(페이드, 온드, 언드 미디어) 고려
  1. Management
  • 효과측정 및 분석 : 마케팅 단계별 반응, 전환, 성과 등의 효과를 척정하고 목표 달성 여부 분석을 진행합니다.

1. 미디어믹스란

  • 다른 말로 원 소스 멀티 유즈 이며 하나의 이야기 또는 하나의 컨텐츨르 여러 가지 매체와 다른 형태로 파생시켜 같이 판매하는 것(둘 이상의 매스미디어 또는 플랫폼 활용)
  • 디지털 속 많은 광고가 존재하고 노출되어 왔으며 이러한 환경은 마케터들에게 잠재 고객들이 모여 있는 일종의 낚시터와 같은 공간
  • 서비스 규모에 따라 수백 수천, 수억을 넘나드는 디지털 광고비를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지불해야 최상의 마케팅 성과를 낼 수 있을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트리플미디어믹스 : PAID MEDIA & OWNED MEDIA & EARNED MEDIA
    • PAID MEDIA : 광고료 소비, 브랜드 확장성에 초점
    • OWNED MEDIA : 회사 자체적 생산하는 고유 콘텐츠, 브랜드 지속성에 중요
    • EARNED MEDIA : 고객의 리뷰 및 외부 평가 자료, 브랜드 지속성에 중요

2. 미디어 믹스 선정을 위해 퍼포먼스 마케터가 해야할 일

  1. 고객 페르소나 정하기
  • 상상에 의한 페르소나 구축이 아닌, 데이터에 근거
  • 분석 툴 : 네이버 데이터랩/구글트렌드/마케팅리포트(메조미디어,나스미디어)/앱애프/언론기사
  1. 잠재 고객이 처한 상황 고민하기
  • 우리가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 그들의 잠재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위한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에 중점
  1. 고객 여정 그려보기
  • 고객 여정 지도 : 구매, 결제, 신청 등의 행위가 이뤄지기 전에 거치는 과정, 퍼널이라고도 함
  • 고객 여정에 따라 어떤 광고 매체를 선정할지, 어떤 역할을 할지 결정하게 해줌
  1. 매체 특성 이해하기
  • 각 서비스가 제공하고 있는 광고 소개서 참고
  • 잠재고객들일 얼마나 관여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현재 서비스의 위치와 시장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할 것
  • 예시 : 브런치 콘텐츠 연재,빅미디어를 통한 머신러닝 활용, SEO 최적화 통한 고객과의 접점 찾기
  1. 광고 매체 탓하지 않기
  • 성과가 좋지 않으면 단편적으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음
  • 기유입된 유저들을 활용하기 위해 리타겟팅하도록 세팅하여 긍정적인 성과 도출
  • 매체의 시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매체를 탓하기 전에 고객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우선
  1. 시장을 제대로 이해하기
  • 고객과 시장을 이해한다면 다양한 미디어믹스에서의 광고매체 선정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

3. 미디어 믹스 수립 시 고려상황

  1. 미디어별 경쟁 현황 : 브랜드 간 노출 경쟁이 치열한 경우 비용이 과도해질 수 있음

  2. 예산 문제 : 마케팅 성과가 나타나는 시간까지 버틸 수 있는 예산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어려움

  3. 담당자 문제 : 개별 미디어를 올바르게 이해해야 함

  4. 성과 분석 착시 현상 : 미디어 믹스의 개별 미디어에 대한 성과 조정하기 위해 기여도 분석이 중요

  5. 마케팅 캠페인 목적 : 단기 매출 증대, 브랜딩 등의 목적에 따라 미디어 선택지가 다름

4. 사례

  • 배달의 민족
  • SSG 닷컴

1. Facebooks Ads

  • 특징 :

    여러 기기에 광고 노출

    추가로 모바일 또는 데스크톱 옵션을 선택하여 타겟이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 광고를 게재 가능.

    간편한 광고 게재

    여러 플랫폼과 기기에 걸쳐 손쉽게 광고 가능, 광고를 한 번만 만들고 자동 노출 위치를 선택하면 캠페인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가장 큰 위치에 광고가 게재됨. 크기나 형식을 조정할 필요가 없음.

    안전하고 정확한 관리

    도달을 확대하더라도 관리 기능을 통해 광고를 게재할 위치와 방법에 관한 기준 설정

    개성 드러내기

    비즈니스별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광고 가능(톤 설정)

    타겟 파악하기

    타겟마다 특화된 크리에이트 버전 만드는 것이 좋음

    주제 결정하기

    모든 광고에 일관성을 주는 컨셉이나 아이디어 또는 시각적 주제 가능

  • 광고 형식 :

    • 사진 게시 형태
    • 동영상 게시 형태
    • 스토리 형태
    • 메신저 형태
    • 슬라이드
    • 컬렉션
    • 앱 데모

2. 사례 공유

페이스북 Ads의 성공사례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59d1a2f8-2e42-4526-b7c5-693bf8295d45/Untitled.png

  • 클래스 101

온라인 취미 교육 플랫폼 클래스101은 브랜드 인지도 목표로 풀퍼널 캠페인으로 확장하여 한 차원 높이 도약한 전환 성과 달성

++ 구매 전환 2.6배 증대 / ROAS 4.3배 증가 / 장바구니 담기 전환 성과 4.5배 증대

++ 갖고 싶은 취미 뽑는 온라인 투표 진행으로 많은 사람들이 호응 이끌어냈으며 기존 캠페인과 퍼널 확장 캠페인 간의 A/B테스트 결과 퍼널 확장 그룹에서 구매/장바구니감기/결제 시작의 전환 성과가 대폭 상승했으며 비용 효율성도 향상됨

++타겟 세분화를 통한 크리에이티브 최적화로 웹앱을 경험한 맞춤 타겟과 경험한 적이 없는 신규타겟으로 분류하여 목표에 맞추었고 효과 증대

정리 : 초기 인지도 없었던 클래스 101이 다양한 프로모션과 해당 프로모션에 맞는 고객 타겟을 세분화 설정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 것과 현재 세대의 가치관과 잘 맞물렸다고 생각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987c9237-6f1f-4875-b22b-1ad6e7baa56b/Untitled.png

  • 당근마켓

중고 상품 거래를 위한 모바일 앱 플랫폼인 당근마켓은 앱 이벤트 최적화를 통해 앱을 설치한 후 새로운 멤버로 등록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찾음

++ 멤버당 등록비용 29% 절감 / 앱 설치 후 등록한 멤버 11% 증가

++ 당시 전국적 인기를 끌고 있던 당근마켓은 새로운 사용자를 찾기 어려웠던 당근마켓은 앱 최적화를 활용하여 등록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광고 타겟팅

++ 관심사 바탕으로 다이내믹 광고 활용하여 상품 이미지 포함된 카탈로그를 업로드했고, 등록 후에 다른 사용자와의 거래도 권장하는 메세지 전송

정리 : 과거 유투부나 티비 광고에서는 당근마켓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광고했지만, 페이스북에서는 고객의 관심사를 반영한 실제 필요한 물건을 직접 광고함으로써 앱 설치와 등록까지의 전환을 극대화 한 것으로 보임

페이스북 자체 게시글 성공사례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8de5e617-cadd-4cef-89c6-ddc827d73c33/Untitled.png

  • 청하

음주를 즐기는 2-30대가 좋아할 만한 컨텐츠로 무언가를 증정하는 이벤트가 아님에도 자발적인 소비자의 참여를 일으키면서 소통하는 모습을 보임

  • 내용

정리 : 일관적인 톤앤 매너와 술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술게임 또는 일화 등을 제시하면서 인싸 문화의 중심이 되어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임

페이스북 자체 게시글 실폐사례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29c6e0a6-5752-4ef1-86b8-3ffdab28c854/Untitled.png

  • 제네시스

당시 SNS를 통한 이벤트로 제네시스 4행시로 소비자의 참여를 이끌었으나, 오히려 부정적 댓글이 호응을 얻었고, 뿐만 아니라 캡처본이 커뮤니티에 업로드 되면서 화제가 되었음

  • 내용

정리 : 결국은 소비자와 소통이 주가 되는 페이스북 특성 상 다양한 상황에 대해 예측할 필요가 있으며, 게시한 이벤트 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까지 예측할 필요가 있음

1. 툴의 종류

– 중급 이상의 스킬을 필요로 하는 구글 애널리틱스

– 마케터가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한 SQL

– 정확한 유저 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파이어베이스

–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기 위해 상급 수준의 엑셀

– 많은 데이터와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돕는 R & 파이썬

2. 각 툴의 특징

  1. GA
  • 광고 캠페인을 통해 들어온 고객과 검색어를 통해 유입된 고객 간에 전환율의 차이를 파악한다.
  • 서비스와 제품을 이용하는 방문 유저 탐색이 가능하다.
  • 실시간 대시보드로 바로 확인이 가능하며, 특정 기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양과 행동 경로를 통한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 사례 : 쿠팡

2) SQL

  • 대부분의 데이터는 RDBMS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필요하다.
  • 데이터 분석의 시작에 필요한 데이터의 추출부터 시작하기에 기본이 된다.
  • 개발자에게 요청할 필요가 없어지면 개발자와 마케터 모두 업무 몰입도가 높아지며, 의사결정 속도가 빨라진다.
  • 사례 : 쏘카

3**) 파이어베이스**

  • 앱을 개발하고, 개선하고, 키워갈 수 있는 도구 모음(toolset)이다.
  • 손쉬운 A/B 테스트 실행이 가능하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로서 빅쿼리를 사용하면 SQL을 활용해 정보 탐색이 수월해진다.
  • 데이터 스튜디오와 연동하여 심화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4**)엑셀**

  1. 파이썬
  • 다양한 프레임 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
  •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통해 향후 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음
  • 전처리는 물론 수집에도 유용하다.

3. 활용 사례

  • 쏘카

  • 모든 데이터가 SQL로 되어있는 쏘카는 서울의 쏘카존을 모니터링 하며 각 존별로 증차량과 감차량 분석한다.

  • 실제 사례로 대학가 A지역과 서울 전체의 이용 시간을 비교한 결과,

     A지역은 줄고 서울전체는 이용 시간이 점차 증가했다.
    
  • 하지만, 매출은 A지역이 더 높았다. 이에 대한 매출을 연령 별로 살펴보니 20대는 감소, 30대는 증가했다.

  •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20대의 이동량은 줄고, 30대 이상의 출퇴근 시 쏘카 이용률이 증가했다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 이와 같은 인사이트로 증차가 필요한 곳을 데이터를 통해 알아내고,

    마케팅의 주 타겟도 변경할 수 있었다.
    
  • 마켓컬리

  • 2016년 까지 ‘엑셀’을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했다.

  • 성장 후에는 분석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점과 주요 데이터가 팀별로 흩어져 있어 통합 분석이 어려웠고, 오기(Human Error)가 발생하면 파악하기 어려웠다.

  • 현재 AWS 및 오픈소스를 통해 구축하여 운영 중이며, Keras 기반 딥러닝 기술 도입했다.

  • 데이터 전문 부서 ‘데이터 농장팀’을 구성했으며 해당부서는 R또는 SQL이 필수이다.

  • 마켓컬리의 채용공고를 살펴보면 Python 활용 가능자를 우대하는 등 직무를 불문하고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추가로 마켓컬리는 물류, 고객단에서 원천 데이터 수집, 분석을 지원하는 시스템인 ‘데멍이(데이터 물어다주는 멍멍이)’를 개발했다.

0. 디지털 마케팅

  • 디지털 마케팅은 크게 퍼포먼스 마케터, 콘텐츠 마케터으로 나뉜다 :

퍼포먼스 마케터는 Data-driven , 콘텐츠 마케터의 creative 역량이 강조된다.

  • ‘광고’에 집착하던 마케팅 시대는 지고 있다 :

우리 생활에서도 이젠 TV를 보는 시간 보다 휴대폰으로 SNS를 이용하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길다. 이는 전통적인 광고매체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의 반증으로 볼 수 있다.

  • 마케팅 자체 보다 마케팅 이후가 더 중요해진 시대 :

TV광고를 본 다음날, 회사에 주문이 들어오더라도, TV광고가 구매를 유도했다는 추측만 있을 뿐, 확신이 없다. 하지만, 이제는 추적 도구를 통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 나만을 위한 마케팅 :

고객이 무엇에 관심이 있을까? 이걸 알면 고객 맞춤 마케팅이 가능해진다. AI 챗봇 등과의 시너지를 통해 고객에게 개인화된 마케팅이 요구된다.

1. 퍼포먼스 마케터란 ?

  • 퍼포먼스 마케팅은 굳게 닫힌 고객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 똑똑한 마케팅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추어 등장한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다.
  • 퍼포먼스 마케터는 신규 잠재 고객을 찾아내고, 이들이 앱 내에서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행동 유도를 하는 업무이다.
  • 주로 검색광고와 네트워크 배너광고, 페이스북 광고 등을 운영한 경험이 요구 된다.

1-1. 퍼포먼스 마케터가 알아야 할점

  • 잠재 고객을 찾기 위해서 그 상황과 결핍을 찾는 데에는 많은 힘을 쏟아야 한다.
  • 기존 경쟁사들과의 특장점을 어필해야 한다.
  • 고객과의 접점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잠재고객과의 의사소통을 꼼꼼이 챙겨야 한다.
  • 한 번에는 없다. 많이 만들어오고 던져보고, 인사이트를 챙겨오는 것이 중요하다.

1-2. 퍼포먼스 마케팅의 함정

  • 성과가 좋지 않은 경우 마케팅 접근과 방식의 문제가 아니라 매체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 다양한 성과 지표로 매일 검증해야 되며, 잠깐의 성과 부스팅을 위한 ‘꼼수’는 통하지 않는다.
  • 좋은 매체, 광고 기술로의 성과보다 우리 고객과 고객이 처한 사황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 유입이 되었다면 프로덕트와의 매끄러운 연결 경험이 곧 재방문으로 이어진다. 즉, 서비스 경쟁력 또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프로덕트팀과 마케팅팀의 간극을 줄여야한다.
  • 데이터 소스가 잘못되어 실패하는 사례가 있어 데이터 기준과 소스를 잘 판별해야한다.

2. 그로스 해커란?

  •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은 성장이라는 의미와 까다로운 문제를 영리하게 해결한다는 해킹의 의미가 결합된 것이다.
  • 그로스 해커는 고객의 행동 패턴과 결과를 통해 서비스 개선점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2-1. 그로스 해커가 알아야할 점

  • 데이터는 정제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에 실제 활용을 위해서는 객관성을 잃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깊기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장기적 전환과 매출에 있어서 어떤 효과기 있을 지에 대한 고민이 항상 필요하다.
  • 분석한 데이터가 서비스의 방향성과 운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책임감이 크다.
  • 기존 마케팅은 ‘브랜딩’과 같은 모호한 개념들이 주가 되었지만 그로스 해커는 성과기반 목표가 중점이 된다.

2-2. 그로스 마케팅 용어

  • Pivot : 제품이나 사업 방향을 바꾸는 것 , 다양한 개설을 끊임없이 세우고 테스트 하며 상시적으로 수행해과는 과정을 pivoiting이라 한다.
  • A/B 테스트 : 서로 다른 두 버전 중 어떤 것이 나은지 테스트 하는 것, 지정된 변수 외에 나머지 변수는 동일하게 테스트하여 검증을 통해 개선안 도출하여 의사결정 순서로 진행된다.
  • PMF(Product Market Fit) : 제품-시장 적합도,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프로토타입 시제품을 선보이며 니즈에 부합하면 시제품이 비싸고 디자인이 별로여도 구매할 것이다.
  • MVP : 기본적인 기능만 갖춘 제품. 제품의 디테일까지 완벽하게 출시하면 제작 속도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실패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고객 데이터 수집을 목표로 제작한다.
  • ICE Score Framework : 개선사항이 있는 경우 우선순위 정하는 방법, ICE는 Impact / Confidence/Ease의 약자로 영향과 성공여부 자원 리소스의 인풋의 점수 책정하는 것이다.
  • Cohort : 동일한 기간에 동일한 이벤트를 결험한 사용자 집단이라는 의미, 앱 마케팅에 주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코호트 사이즈라고 하면 인스톨수치나 이벤트 수치의 사이즈를 일컬음. 리텐션율이 줄어들면 코호트 사이즈를 통해 해결하기 위해 유저복귀 프로모션 진행 가능하다.

Shell command
cd : change directory

mv : move

mkdir : make directory

rm/rm -rf : remove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see the directory is now working)

touch : make a file

vi : vim mode(im not sure)

cat : concatenate (see what the file has)

ls : see the list

vim command
i : insert mode

v : visual mode

ESC : back to normal mode

d : delete

dd : delete a line

y : yank

yy : yank a line

p : paste

u : undo

a : append

A : append from end of line

o : open line(under)

O : open line(upper)

H : move to the top of the screen

L : move to the bottom of the screen

shift + y = copy a line

shift + ins = copy

alt + ins = paste

command mode
:q - quit

:q! - quit discarding all changes

:w - write

:wq - write and quit

:{number} - jump to {number}th line.

what is it?
It helps to corporate with someone and it make us efficent to manage our code.

why does it need?
when we work with colleague,we can share the part while working. I guess it is particulary helpful for agile method.

how to use git?
first, launch the git for window in the internet…

and … search on google!

start project with git init
make repo

$ mkdir first-repo && cd first-repo

$ git init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Daseul-Kim}/{first-repo}.git

$ touch README.md

$ git add README.md

$ git add README.md

$ git commit -m “docs:Create README.md”

$ git push -u origin master

start project with git clone
make repo in github

git clone {repo address}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make blog (by using github)
launch node.js

use hexo

enter npm install -g hexo-cli (if it needs permission, put sudo at first)

hexo into myblog (in my case : hexo-blog)

enter after put npm install

if you want to write new post : enter after hexo new post “ bla bla” and then vi source/_posts/bla-bla.md

write what you want (hexo transfer html automatically)

enter after hexo clean && hexo generate (and see generated : ~~~.html)

check your posts ( it could be local server)

let’s push it to git : we shoyld put in _config.yml below : npm install hexo-deployer-git –save

copy your github.io address

enter vi _config.yml > we need to change (row:100) >> deploy: / type: git / repo: github.io.address / branch: main >( no master!)

(row:6) title: what i want / description: ‘what i wnat, bla’ / author : Daseul-Kim / lang,time : don’t touch

(row:16) url : https://{username}.github.io

let’s check it out to push by using : enter after hexo clean && hexo deploy

Welcome to Hexo! This is your very first post. Check documentation for more info. If you get any problems when using Hexo, you can find the answer in troubleshooting or you can ask me on GitHub.

Quick Start

Create a new post

1
$ hexo new "My New Post"

More info: Writing

Run server

1
$ hexo server

More info: Server

Generate static files

1
$ hexo generate

More info: Generating

Deploy to remote sites

1
$ hexo deploy

More info: Deployment